목록에러 (22)
말랑말랑제리스타일

오라클에서 잘 쓰던 프로시저가 갑자기 "Ora-01839 : 지정한 월에 대한 날짜가 부적합합니다."라는 에러를 뱉는 경우가 생겼는데요. 이런 경우 Inverval month를 사용해서 날짜 연산을 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과 변경 쿼리에 관한 내용을 알아봅시다. 오라클에서 Interval month로 날짜 연산 시 에러 발생하는 상황 오라클에서 Interval month로 날짜를 계산할 경우 앞서 말한 것처럼 "Ora-01839 : 지정한 월에 대한 날짜가 부적합합니다."라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을 확인해보면 연산의 결과에 해당하는 날짜가 해당 월의 마지막 날을 지나는 경우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5월 30일 기준으로 아래 쿼리를 실행했다고 합니다..

배경을 제거하는 유명한 사이트로 remove.bg 사이트가 있죠. 심지어 remove.bg에서는 API도 제공해 주기 때문에 무료로 배경을 제거하는 API로 Remove.bg API를 사용해 보려는 초보 개발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요. 저 역시 그런 케이스였는데 에러가 발생했고 주의할 점을 뒤늦게 알았네요. Remove.bg API 사용 시 발생한 에러 Remove.bg 사이트에서 API 키를 발급받고 앱이나 프로그램에서 처음 실행해보면 상당히 쉽게 됩니다. 물론 플러터 웹을 사용하는 경우는 저도 아무리 노력해도 안돼서 포기했지만, 플러터에서도 쉽게 사용 가능하고, 파이썬이나 루비, 닷넷 등 다양한 언어의 샘플까지 제공해 주죠. 이후에 시간이 되면 플러터 앱에서 remove.bg 사용하는 방법을 업로드해볼..

티스토리 로그인 에러나 접속 에러가 나는 경우가 발생한 경우 구글링 해보면 인터넷 사용 기록을 전체 삭제하라는 글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럴 경우 모든 사이트 로그인을 새로 해야 하거나 휴대폰 인증을 모두 다시 하는 등 번거로움이 뒤따르죠. 따라서 전체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가 아닌 티스토리 관련 인터넷 사용 기록만 삭제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티스토리 관련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방법 먼저 크롬 우측 상단에 있는 점 세개 버튼을 클릭해서 방문기록으로 들어가 줍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방문 기록 메뉴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를 눌러주면 팝업이 뜹니다. 이 화면에서 우리는 모든 기록을 삭제할게 아니기 때문에 취소를 눌러 닫아줍니다. 화면이 이렇게 바뀌었죠? 크롬 개인 정보 및 보안..

토드 재설치 후 A TNSNames.ora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했는데요. 간단하게 환경변수 설정을 통해서 해결이 가능합니다. 우선 에러 전문을 보면 "A TNSNames.ora file was not fount. Toad will find this file if it exists in either of the following locations:"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그리고 밑에 TNS_ADMIN이라는 문구가 포함된 해결 방법과 Toad.exe 파일이 존재하는 폴더 내에 TNS 파일을 넣으라는 해결 방법이 나오죠. 두 가지 방법 모두 알려드립니다. TNS Names 파일을 Toad.exe와 같은 경로에 붙여 넣기 우선 TNS 파일을 찾아줍니다. 일반적으로 C:\\app\\유저명\\prod..

오라클에서 MERGE 구문이 익숙하지 않다면 사용 시 유의해야 될 점이 있는데요. 그 유의점 중 하나는 참조되는 열을 업데이트할 경우 발생하는 ORA-38104 에러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오라클 MERGE 구문 사용 방법 요약 오라클 MERGE 구문이 뭔지 모르고 사용하려는 분들은 아마 없겠죠. 어떤 테이블 내에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 존재 유무에 따라서 UPDATE, DELETE, INSERT 등의 DML 구문을 사용하는 쿼리인데요.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MERGE INTO 조작할테이블 USING (참조할테이블) ON (조건절) WHEN MATCHED THEN --생략가능 (일치할 경우 UPDATE, DELETE 쿼리) WHEN NOT MATCHED THEN --생략..

플러터에서 CupertinoPage Scaffold 내에 Material Widget을 사용하는 경우 위젯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CupertinoNavigationBar에 위젯이 가려지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황인데요. Navigation Bar를 제거하면 보이긴 하지만 여전히 보기 좋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해결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CupertinoPageScaffold 가려지는 현상 확인 우선 제가 기존에 작성한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return CupertinoPageScaffold( navigationBar: CupertinoNavigationBar( middle: Text('일정표'), ), child: Scaffold( body: TableCalendar( focu..

플러터에서 pub을 이용해 외부 라이브러리를 끌어다 쓸 때 간혹 "Cannot run with sound null safety"라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참고 사이트에 들어가면 영어로 되어있어 알아보기 힘들지만 처리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Cannot run with sound null safety 에러 간단한 처리 방법 먼저 가장 간단하게 이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 처리 방법입니다. null safety에 대한 에러를 무시하고 실행시켜버리는건데요. 당연히 플러터 자체적으로 권장하는 방법은 아닌 것 같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에 이것부터 알려드립니다. 터미널을 이용해 실행시키는 방법(한번만 사용) 먼저 첫번째 방법은 일단 한번 실행시켜보고자 할 때 터미널에서 실행시키는 방법입니다. 기본..

플러터 2.0 사용할 때 List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에러가 몇 가지 있는데요. 그중 대표적인 List()라는 구문을 사용하면 발생 가능한 에러와 리스트에 add로 아이템 추가할 때 발생하는 에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러터에서 List를 List() 생성자로 초기화하면 발생하는 에러 플러터 2.0에서는 Null에 대해 상당히 예민해진 것 같습니다. "The default 'List' constructor isn't available when null safety is enabled." 이런 에러가 보이는데요. 해석하면 Null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List() 생성자를 사용할 수 없다는 거죠. 그러나 리스트를 만들 때 당연하게도 선언 부에서 아이템을 전부 넣어주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