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제리스타일
플러터 설치 및 개발환경 구축 본문
플러터를 시작하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고 플러터 개발환경을 구축해야합니다.
그 방법을 지금부터 설명드립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다른 방법도 있겠지만 플러터 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구축하는 방법이 가장 편리하고 저 역시 이 방법을 기준으로 알려드릴게요.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가 가능합니다.
Download Android Studio & App Tools - Android Developers
Android Studio provides app builders with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optimized for Android apps. Download Android Studio today.
developer.android.com
메인 페이지에서 Download Android Studio 버튼을 눌러 손쉽게 다운로드 가능하고 최신 버전은 환경변수까지 설치할 때 설정해주기 때문에 대부분의 PC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플러터 설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했다면 플러터를 설치하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플러터 개발환경을 세팅해주어야하는데요. 현재 일시적인건지 한국어 플러터 사이트에서 플러터 SDK 다운로드가 불가능하기에 해외 원문 사이트를 사용해야합니다.
마찬가지로 아래 링크로 들어가주세요.
Windows install
How to install on Windows.
docs.flutter.dev
사이트에 들어가면 위쪽에 flutter_windows_3.3.5-stable.zip 이라고 되어있는 버튼을 클릭해서 플러터 SDK를 압축파일 현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적절한 위치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저는 D 드라이브에 D:\flutter 폴더로 압축을 풀어보겠습니다.
플러터 환경변수 설정
플러터 압축을 풀었다면 SDK 환경변수를 잡아줘야합니다.
내 PC에서 속성 버튼을 누르고 우측에 보이는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
여기서 하단의 환경변수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위쪽 사용자 변수에서 Path를 찾아 더블클릭하면 설정되어있는 환경변수들이 나올텐데요.
맨밑에 새로 추가해서 플러터 설치위치의 bin 폴더를 지정해줍니다.
플러터 닥터 실행
환경변수가 설정되었다면 flutter doctor 명령으로 SDK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윈도우 키를 누르고 cmd로 들어가서 flutter doctor라고 입력해줍시다.
만약 환경변수가 제대로 안잡혔다면 이런 화면이 아닌 윈도우 에러 메세지가 나타날 겁니다.
제 화면과 같이 안드로이드 툴체인에 느낌표가 있다면 확인해줄 부분이 있는데요
먼저 cmdline-tools component is missing이 뜬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켜고 임시로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해줍시다.
그리고 생성이 완료되면 File-Setting으로 들어가서 System Settings-Android SDK를 열어줍니다.
여기서 SDK Tools를 선택하고 Android SDK Command-line Tools (latest)에 체크한 뒤 OK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나서 다시 cmd 창을 열어 flutter doctor 를 입력하면 해당 표시가 사라질겁니다.
그리고 나면 느낌표 표시로 Android Licence라고 되어있는 문구가 남아 있는데요.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라고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무슨 라이센스 내용이 나오는데 전부 y 입력해서 동의해주셔도 되고 영어가 능통하시다면 읽어보시길 권고합니다.
(그냥 넘기라고 했다가 잘못되면 제 책임이니까 일단 읽어보라고 써뒀습니다. 물론 저는 그냥 다 y 입력했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세팅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열어줍시다. 만약 이미 프로젝트가 열렸다면 File-Close Project로 메인으로 돌아가줍니다.
여기서 Plugins를 선택하고 Flutter를 설치해줍니다.
Install 버튼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Dart 설치할지 물어보는데 한다고 하고 그것도 끝나면 버튼이 Restart IDE라고 나옵니다.
그 버튼을 눌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재실행해줍니다.
완료되면 메인 화면에 위와 같이 New Flutter Project 버튼이 생깁니다.
눌러주면 왼쪽에 flutter가 있는데 이걸 눌러주고 상단에 SDK 위치 지정하는 부분에 플러터 SDK를 설치한 위치를 작성해줍니다.
저같은 경우는 D:\flutter 가 되겠죠.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예제 소스가 있는데요.
일단 건들지 말고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빌드해봅니다.
상단에 Build - Flutter - Build APK로 빌드 테스트를 해봅니다.
프로젝트폴더 내의 \app\outputs\flutter-apk 폴더로 이동하면 app.apk 파일이 생성된게 보이네요.
하지만 가상머신으로 연결하기가 안되는데 이부분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unable to run "adb", check your android sdk installation and android_sdk_root environment variable
이게 에러 내용이고 일단 간단히 설명하면 환경변수에서 시스템 변수에 추가를 누릅니다.
ANDROID_SDK_ROOT 라는 명칭으로 위에 제가 설명한 SDK 폴더를 추가하고
PATH에다가 새로 만들기로 SDK 폴더의 emulator 폴더, platform-tools 폴더, tools 폴더를 추가한 뒤 재부팅하면 되네요.
한참 안돼서 헤메다가 겨우 해결됐네요.
'프로그래밍 > 플러터 앱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러터 에러 Cannot run with sound null safety 처리 방법 (0) | 2022.11.03 |
---|---|
플러터에서 List 사용시 발생하는 에러 (0) | 2022.10.28 |
플러터에서 초기화 하지 않고 변수 선언하는 방법 (0) | 2022.10.28 |
플러터 pubspec.yaml 수정 시 에러 및 주의사항 (0) | 2022.10.28 |
플러터 설치 Connected device 에러 해결 방법 (0) | 2022.10.27 |